![]() |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GDP 대비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KBS 뉴스 영상) |
한국은행은 6일 국회 민생경제특별위원회에 이런 내용을 담은 '가계부채 상황 점검' 자료를 제출했다.
한은이 2015년 말 자금순환통계 기준으로 OECD 35개 회원국 중 25개국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169%로 평균 129.2%보다 39.8% 포인트 높았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늘어났다.
2010∼2015년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OECD 평균치는 0.5%p 떨어졌지만, 한국은 오히려 21.4%p나 올랐다.
또한, 2015년 말 기준으로 명목 국내총생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보면 한국은 91%로 OECD 평균 70.4%보다 20.6%p 높았다.
한국은 25개국 가운데 덴마크 133%, 스위스 126.5%, 네덜란드 123.9%, 노르웨이 100.9%, 캐나다 100.6%, 영국 93.0%에 이어 7번째로 높았다.
한은도 가계부채 총량의 확대에 우려를 나타냈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GDP 대비 가계부채 총량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은은 "가계금융복지조사, 국내외 연구결과 등에 비춰볼 때 우리나라에서 가계부채가 이미 소비를 제약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통계청과 한은, 금융감독원의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가구가 전체의 70%나 되고 이 중 약 75%는 실제로 소비지출 및 저축을 줄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한은은 가계부채가 금융시스템 전반의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가계부채가 상환능력이 양호한 계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돼 있고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도 좋은 편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한편 한은은 올해 정부의 비은행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다소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